경상남도

[경상남도 거창군] 감악산 꽃별 여행

충청북도 관광명소정보 2025. 9. 26. 12:29
반응형

감악산 꽃별 여행


- 홈페이지
http://windstar.kr/

- 거창군
055-940-8227

- 주소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연수사길 452 거창 별바람언덕

제5회 감악산 꽃별여행은 2025년 9월 19일부터 10월 12일까지 거창군 신원면 감악산 정상과 별바람언덕 일원에서 열리는 가을 대표 축제다. 올해 주제는 ‘보랏빛 노을 속으로’로, 가을의 정취와 감악산의 자연 풍광을 배경으로 다양한 공연과 체험, 먹거리가 어우러진다. 축제는 9월 23일 개장행사로 본격 시작되며, 식전 공연과 개장 퍼포먼스, 구절초 단지 탐방이 진행된다. 축제 기간에는 버스킹 공연, 노을빛 언덕 음악회, 거창악우회 축하공연, 어린이를 위한 마술쇼 등 다양한 무대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특히 20일날 진행하는 음악회는 아카펠라·팝페라·재즈밴드 공연이 마련되어 노을과 어우러지는 낭만적인 분위기를 선사한다.
체험 프로그램도 풍성하다. 주말마다 열리는 웰니스 치유 프로그램에서는 건강차 시음과 ‘감악산 향기 롤온’ 만들기를 체험할 수 있으며, 행사장 곳곳에 설치된 포토존과 스탬프 투어, SNS 인증 이벤트 등을 통해 기념품을 받을 수 있다. 별바람언덕에는 편지를 써서 내년 행사 전에 받아볼 수 있는 느린 우체통이 설치되며 많은 볼거리를 제공한다.
먹거리 또한 축제의 큰 즐거움이다. 지역 농가와 업체들이 참여하는 꽃별마켓에서는 거창 특산품과 가공품을 만날 수 있다. 또한 남상면·신원면 부녀회가 운영하는 먹거리 장터에서는 비빔밥, 국밥, 전, 두부김치 등 푸짐한 음식을 저렴한 가격에 맛볼 수 있으며, 푸드트럭존에서는 커피, 식혜, 핫도그 등 간편한 먹거리도 즐길 수 있다.

 


※ 소개 정보
- 행사 일정 : 2025-09-19 ~ 2025-10-12
- 이용요금 : 무료
- 행사 장소 : 거창 별바람언덕
- 공연시간 : 09:00~18:00
- 주최자 정보 : 거창군
- 주최자 연락처 : 055-940-8227




◎ 행사소개
제5회 감악산 꽃별여행은 2025년 9월 19일부터 10월 12일까지 거창군 신원면 감악산 정상과 별바람언덕 일원에서 열리는 가을 대표 축제다. 올해 주제는 ‘보랏빛 노을 속으로’로, 가을의 정취와 감악산의 자연 풍광을 배경으로 다양한 공연과 체험, 먹거리가 어우러진다. 축제는 9월 23일 개장행사로 본격 시작되며, 식전 공연과 개장 퍼포먼스, 구절초 단지 탐방이 진행된다. 축제 기간에는 버스킹 공연, 노을빛 언덕 음악회, 거창악우회 축하공연, 어린이를 위한 마술쇼 등 다양한 무대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특히 20일날 진행하는 음악회는 아카펠라·팝페라·재즈밴드 공연이 마련되어 노을과 어우러지는 낭만적인 분위기를 선사한다.
체험 프로그램도 풍성하다. 주말마다 열리는 웰니스 치유 프로그램에서는 건강차 시음과 ‘감악산 향기 롤온’ 만들기를 체험할 수 있으며, 행사장 곳곳에 설치된 포토존과 스탬프 투어, SNS 인증 이벤트 등을 통해 기념품을 받을 수 있다. 별바람언덕에는 편지를 써서 내년 행사 전에 받아볼 수 있는 느린 우체통이 설치되며 많은 볼거리를 제공한다.
먹거리 또한 축제의 큰 즐거움이다. 지역 농가와 업체들이 참여하는 꽃별마켓에서는 거창 특산품과 가공품을 만날 수 있다. 또한 남상면·신원면 부녀회가 운영하는 먹거리 장터에서는 비빔밥, 국밥, 전, 두부김치 등 푸짐한 음식을 저렴한 가격에 맛볼 수 있으며, 푸드트럭존에서는 커피, 식혜, 핫도그 등 간편한 먹거리도 즐길 수 있다.



◎ 행사내용
1. 관람코스

- 아스타 단지 : 아스타국화 5ha, 30만본, 전망대, 억새 미로, 체험장 등

- 구절초 단지 : 구절초, 벌개미취 쑥부쟁이 4ha, 40만본, 데크쉼터

- 무장애나눔길 : 데크로드 3.8km, 전망대 3개소


2. 공연프로그램 : 노을빛언덕음악회, 버스킹, 마술쇼, 지역예술인 단체 공연


3. 체험프로그램 : 웰니스체험, 스탬프투어, 동서남북 워크온챌린지


4. 판매 및 먹거리 : 꽃별마켓, 먹거리장터, 푸드트럭존





2025 감악산 꽃별 여행 32025 감악산 꽃별 여행 42025 감악산 꽃별 여행 52025 감악산 꽃별 여행 포스터2025 감악산 꽃별 여행 1





◎ 주위 관광 정보

⊙ 감악산항노화웰니스체험장


- 주소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연수사길 456

거창 항노화 웰니스 체험장은 거창의 명산으로 불리는 해발 952미터 감악산 정상 부근에 있다. 황무지였던 터에 감국, 아스타, 구절초 등을 심어 가꾼 산상화원으로 가을이면 보라색 아스타 국화가 아름답다. 풍력 발전소가 자리 잡은 정상이지만 차량 진입이 가능해 접근성이 좋은 곳으로 차박과 피크닉이 가능하고 거창 시내 전경과 합천호의 아름다운 경관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거창에서 가장 아름다운 일몰을 감상할 수도 있는 곳으로 밤이면 은하수와 별빛 체험을 위해 가족이나 연인들이 많이 찾는다.

⊙ 연수사(거창)

- 홈페이지
https://www.geochang.go.kr/tour/

- 주소
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연수사길 115-103

연수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 12교구 본사인 해인사의 말사로서, 신라 애장완 3년(802년) 감악조사가 감악산 남쪽에 절을 세웠으나 빈대 때문에 절이 망하여 능선 북쪽인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연수사는 감악산의 시원스러운 하늘 아래 안겨 아름다운 전설을 지닌 만큼이나 뜻깊은 명소이고 물과 인연 깊은 절이다. 고려 공민왕 때 벽암선사가 심여사원을 지어 불도를 가르쳤다는 절로서 푸른빛 감도는 바위구멍에서 떨어지는 맛 좋은 샘물이 있다. 이 샘물에서 신라 헌강왕이 중풍을 고쳐 감사의 뜻으로 그 이름을 지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사시사철 온도가 같은 점이 특징이다. 여름철 이른 새벽이나 저녁에 연수사에 오르는 사람들은 모두 연수사 약수를 찾아가는 이들로 ‘연수사 물 맞으로 간다’는 말로 통하고 있다. 절 앞 은행나무는 6백여 년 전 고려 왕손에게 시집가 유복자를 낳고 속세를 피해 절로 들어왔다가 조선에 망한 고려 왕 씨의 명복을 빌던 한 여승이 심었다는 나무로써 도지정 기념물 제124호로 지정되어 연수사의 상징물이 되고 있다.

⊙ 거창 감악사지 승탑


- 홈페이지
http://www.geochang.go.kr/tour/index.do

- 주소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거창 감악사지 승탑은 승려의 시신을 화장한 후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두는 곳으로, 승려의 무덤을 상징한다. 구사리 마을에 자리하고 있는 이 부도는 원래 감안사의 옛 터에 있었으나, 건물이 들어서면서 1987년 이곳으로 옮겨졌다. 3단의 받침돌로 이루어진 기단(基壇) 위에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며, 각 부분이 8각을 이루고 있다. 기단은 아래받침돌의 옆면에 안상(眼象)을 얕게 새기고, 윗면에는 윗돌을 괴기 위한 두터운 괴임을 두어 구름과 용 무늬를 새겨 놓았다. 가운데받침돌은 아무런 꾸밈을 두지 않았고, 윗받침돌은 밑면에 2단의 받침을 새긴 후 윗면에 연꽃무늬를 조각하여 둘렀다. 탑신의 지붕돌은 여덟 귀퉁이마다 꽃조각을 달아 돌출되게 장식하였다. 꼭대기의 머리장식이 없어지긴 하였으나 비교적 보존이 잘 되어 있는 작품으로,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 국가유산청)

⊙ 오례사


-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

- 주소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오례길 127-3

백촌 김문기(1399∼1456)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고 이를 계승하고자 세운 곳이다. 김문기 선생은 세종 8년(1426) 과거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으나 사육신과 함께 단종복위를 꾀한 사건으로 희생당하였다. 그 뒤 영조 7년(1731) 복관 되고, 영조 33년(1757) 충의(忠毅)란 시호가 내려졌다. 오례사는 선생의 후손이 1870년에 세웠으며, 1994년에 크게 보수하여 오늘에 이른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외삼문, 추원재, 내삼문, 사당이 있다. 사당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 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추원재는 앞면 4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출처: 국가유산청)

⊙ 거창사건추모공원


- 홈페이지
https://www.geochang.go.kr

- 주소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신차로 2924

거창사건추모공원은 우리나라 현대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로, 6·25전쟁 중이던 1951년 2월 9일에서 11일까지 거창군 신원면에서 일부 국군에 의해 집단으로 희생당한 주민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들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하여 조성되었다. 1996년 ‘거창사건 등 관련자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정으로 추진된 사업으로 총 부지면적 49,133평 규모의 합동위령사업을 1998년에 착공하여 2004년에 준공되었다.
거창사건추모공원에는 위령탑, 묘역, 역사교육관, 위패봉안각 등의 시설이 있다. 희생자들을 안장한 위령 묘지는 마음을 숙연하게 한다. 역사교육관은 거창사건희생자합동위령사업의 일환으로 2004년 4월에 완공되었다. 이곳은 그동안 수집되어 온 자료를 보존·전시하고, 왜곡되고 억울하게 희생당한 영령들의 넋을 위로하며, 역사의 진실을 바로 잡아 이 땅에 이러한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기억하고 교훈을 삼을 수 있는 역사 교육의 현장이다.

⊙ 거창사건역사교육관


- 홈페이지
https://www.geochang.go.kr/

- 주소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신차로 2924

거창사건 역사교육관은 거창사건 희생자합동위령사업의 일환으로 2004년 4월에 완공되었며, 주 전시실, 시청각실 등 808.64㎡의 면적에 연출 모형류, 기록물, 신문 자료, 판결문, 사진류, 작전일지 등의 사료와 영상물, 각종 자료 시스템, 그래픽, 일러스트, 애니메이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교육관 내의 전시실은 제1공간 거창의 겨울, 제2공간 감춰진 진실, 제3공간 폭로와 은폐, 제4공간 왜곡된 기억, 제5공간 마주한 현실, 제6공간 가치의 계승, 제7공간 거창의 봄으로 구성되어 있다. 거창사건은 한국전쟁 때인 1951년 2월 9일~11일까지 거창군 신원면 청연골, 탄량골, 박산골에서 양민 719명이 국군에 의해 집단학살 당한 사건을 말한다.
거창사건 역사교육관은 그동안 수집되어 온 자료를 보존, 전시하고 왜곡되고 억울하게 희생당한 영령들의 넋을 위로하며 역사의 진실을 바로잡아 이 땅에 이러한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기억하고 교육을 삼을 수 있는 역사 교육의 현장이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