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낙안읍성 민속문화축제
- 홈페이지
https://www.suncheon.go.kr/nagan/page02/0002/0001/
- 순천시
061-749-8831
-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충민길 30
600여년을 지켜온 역사성을 다양한 문화예술로 재현한 읍성만의 차별화된 축제이며, 조선시대의 일상문화를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고유 민속축제이다. 순천 낙안읍성만의 독창적이고 차별성 있는 전통문화를 제공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문화관광 콘텐츠를 통해 읍성의 보존 가치를 널리 알리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소개 정보
- 행사 일정 : 2025-10-17 ~ 2025-10-19
- 이용요금 : 유료(축제 기간 할인에 따라 성인 2,000원, 청소년 및 군인 1,250원, 어린이 750원)
- 행사 장소 : 순천 낙안읍성
- 공연시간 : 11:00~18:00
- 주최자 정보 : 순천시
- 주최자 연락처 : 061-749-8831
- 주관사 정보 : 사단법인 낙안읍성보존회, 순천낙안읍성민속문화축제추진위원회
◎ 행사소개
600여년을 지켜온 역사성을 다양한 문화예술로 재현한 읍성만의 차별화된 축제이며, 조선시대의 일상문화를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고유 민속축제이다. 순천 낙안읍성만의 독창적이고 차별성 있는 전통문화를 제공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문화관광 콘텐츠를 통해 읍성의 보존 가치를 널리 알리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행사내용
1. (개 막 식) 도립국악단, 낙안군수 부임행렬, 취타대, 군악대, 시립합창단
2. (주민참여) 백중놀이, 성곽쌓기, 수문장교대식, 기마장군 순라의식
3. (시민참여) 윷놀이 경연대회, 큰줄다리기, 씨름대회 2회, 레크레이션
4. (축제공연) 김빈길 창극, 전통 국악, 세미트롯, 그라나다 퓨전국악 공연 등
5. (부대·상시) 먹거리·체험 부스(무·유료) 운영, 마임·불쇼·마술 등 거리 공연
6. (연계행사) 전통혼례식, 낙안 배 축제 연계(성외), 콘텐츠코리아랩 창작 작품 전시
◎ 주위 관광 정보
⊙ 선비촌
- 선비촌
061-754-2525
-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삼일로 51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선비촌 자연 정식이 대표 메뉴이다.
⊙ 최대감벌교꼬막
-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삼일로 63
꼬막 전문 식당으로, 다양한 꼬막 요리를 한 자리에서 즐길 수 있는 곳이다. 꼬막 정식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전라도식의 푸짐하고 정갈한 한상차림이 돋보인다.
⊙ 순천시립 뿌리깊은나무 박물관
- 홈페이지
https://www.suncheon.go.kr/tour
-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평촌3길 45
낙안읍성 인근에 있는 순천시립 뿌리깊은나무 박물관은 故한창기 선생님이 생전에 모아오신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청동기 시대부터 광복 이후까지 다양한 유물들이 전시되어 우리 '토박이' 문화를 잘 이해할 수 있는 박물관이다.故한창기 선생님은 생전에 우리 것의 낡음과 투박한 것에서 문화를 창조하고자 하셨다. 보잘것없고 천대받던 것들이 지금은 문화적 가치가 있는 유물이 되고, 조상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 재탄생 되었다.
⊙ 낙안돌탑공원
-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민속마을길 1697
순천 낙안읍성 근처에 자리한 낙안 돌탑공원은 돌탑 예술가인 최병수 씨의 개인 정원이다. 2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공원의 주인인 최병수 씨가 수천 개의 돌을 하나하나 정성껏 쌓아 올린 작품을 둘러볼 수 있다. 마음을 수양하고자 쌓은 작품이 어느덧 수백 개를 넘어섰다고 한다. 대표 작품은 단연 국보 남대문으로 생각보다 커다란 규모에 감탄을 자아내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나로호, 에펠탑, 자유의 여신상 등 유명 관광 명소를 본떠 만든 작품들도 재미있는 관람 요소다.
⊙ 낙안향교
- 홈페이지
http://www.cha.go.kr
-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교촌길 59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한 고려·조선시대의 국립 지방 교육기관이다.
낙안향교는 조선 전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측되는데, 효종 9년(1658)에 군 동쪽 농암등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건 하였고 몇 차례에 걸쳐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명륜당, 동무, 서무, 동재, 서재, 양사재, 고직사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 송조2현, 우리나라 18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전교 1명과 장의 수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향교 입구에 하마비와 22기의 비석군이 있다.
낙안향교 명륜당 뒷편에 있는 낙안 교촌리 은행나무는 향교를 지금의 자리로 옮길 때 심은 것으로 알려져 수령이 360여 년이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낙안읍성민속마을과는 불과 300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함께 여행하기 좋은 곳이다.
⊙ 낙안온천
- 홈페이지
http://www.순천낙안온천.kr
-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조정래길 933
낙안온천은 순천시 금전산 중턱에 위치하고 있으며, 어떠한 정수 시설도 사용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순수한 100% 천연 온천수만을 사용한다. 이곳은 2000년 온천이 발견되었고 2003년 온천원 보호 지구로 지정되었다.
지하 830m에서 분출되는 유황과 게르마늄이 함유된 온천수는 항암 및 노폐물과 각질 제거, 피부 질환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온천 녹차탕은 피부 탄력 유지에 도움이 된다. 이곳을 체험하고 나온 사람들의 입소문으로 수질과 온천수의 효능이 보장된 곳이다.
산속에 위치하고 있어 온천욕과 산림욕이 가능해 심신의 피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낙안읍성에서 차량 이동 3분, 2km의 근거리에 위치해 있으므로 관광 후 온천욕으로 여독을 풀 수 있다. 주변 관광지로 금전산과 금강암, 금둔사가 있다.
⊙ 국립 낙안민속자연휴양림
- 홈페이지
https://www.foresttrip.go.kr/
-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민속마을길 1600
순천 금전산 남쪽 산자락에 위치한 낙안읍성자연휴양림은 순천역이나 순천시내에서 30분 정도면 닿을 수 있는 자연휴양림이다. 낙안읍성민속마을에서는 약 2Km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낙안읍성과 주변 경관이 수려하여 휴식공간으로는 최적지일 뿐만 아니라 인근에 송광사, 선암사 등 전통 고찰과 주암호, 상사호 등이 있고, 순천만의 갈대와 해변도 가까워 휴식과 여행을 하기 좋은 곳이다. 조정래의 소설 태백산맥의 주무대인 벌교와도 가깝다.
낙안읍성자연휴양림은 다양한 숙박시설과 함께 널찍한 잔디밭 그리고 민속놀이 체험장을 갖추고 있으며, 궁굴재를 거쳐 금정산 정상까지 이어지는 등산로가 개설되어 있다. 금전산 정상은 천혜의 전망대로 남쪽으로는 낙안읍성, 낙안들녘뿐만 아니라 순천만 갈대밭과 벌교읍내, 참꼬막의 산지로 유명한 여자만 바다 등이 보이고, 북쪽으로는 상사호가 한눈에 들어온다.
자연휴양림으로서 다양한 생태여행 뿐만 아니라 문화·역사체험도 함께 즐길 수 있는 곳이다.
⊙ 금전산
- 홈페이지
http://www.grandculture.net/suncheon/
-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상송리
낙안면 낙안읍성 배후에 있는 금전산(해발 668m)은 옛 이름이 쇠산이었으나 100여 년 전 금전산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한자 뜻풀이는 금으로 된 돈산이나 불가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부처의 뛰어난 제자들인 오백비구(오백나한) 중 금전비구에서 따왔다고 금강암 스님들은 전한다.
백이산-고동산-조계산으로 이어지는 호남정맥에서 갈라져 나온 지능선에 해당하는 금전산은 정상의 서쪽 면은 온통 바위로 뒤덮여 기암절벽을 이루고 있어 석양 무렵이면 바위산은 붉은빛으로 물들어 신비로움과 외경심을 자아낸다. 산세는 커다란 암반으로 되어있어 육중함을 느끼게 하며, 멀리서 바라보면 마치 금(金)자처럼 보인다. 정상에 오르는 등산길은 불재 정상에서 구능수를 지나는 코스, 낙안에서 상사호로 이어지는 고개인 오금재에서 오르는 코스, 낙안온천에서 금강암으로 바로 가는 코스 등이 있다.
등산객들에게 인기있는 금강암은 백제 위덕왕 때 창건되었다. 승주향리지는 위덕왕 30년(583) 금둔사가 창건되었고 그 후 의상대사가 금강암, 수정암, 문주암 등 30여동의 사우를 가진 대찰로 중건했다고 전한다. 지금의 금둔사는 1985년 선원으로 재건된 것으로서 태고종 소속이며 금강암은 송광사에 속한 조계종 사암이다.
⊙ 금둔사
- 홈페이지
http://www.geumdunsa.org
-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조정래길 1000 (낙안면)
금둔사는 순천시 낙안면 금전산 기슭에 자리한 사찰로 송광사와 낙안읍성 민속마을로 연결되는 관광벨트 중심에 위치하여 경관이 수려할 뿐만 아니라 규모도 상당히 크다. 금둔사의 창건 연대와 창건자는 알 수 없지만 금둔사지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통해 9세기 전반에 사찰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금둔사의 옛 이름인 동림사의 명칭은 징효대사(826~900)의 비문에서 ‘당주의 군사 김사유등이 찾아와서 선지를 듣고 법문에 깊이 감명을 받아 분령에 계시도록 청하고, 군의 동림을 선거에 길이 예속시켜 열반할 종신처로 삼게 하였다’라고 하였다. 여기서 분령은 낙안의 옛 지명이므로 동림사가 금둔사의 옛 명칭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금둔사는 9세기 후반 징효대사 절중이 주석하였던 선종 사찰로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보물로 지정된 경내의 삼층석탑과 석조불비상을 비롯하여 1999~2002년까지 국립 순천대학교 발굴팀에 의하여 8-9세기의 아름답고 정교한 무늬의 암ㆍ수막새 등 다량의 유물이 발굴된 것만 보아도 그 당시 금둔사의 위세가 어떠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그 후 금둔사는 조선시대 정유재란으로 낙안성이 함락되면서 전소되었다가 17세기 후반에 와서 완전 폐사가 되었다.
현재의 건물은 1983년 선암사 칠전선원에 주석하던 수행승 지웅선사가 중창 불사를 일으켜 현재 법당, 요사채, 선원 등 10여 동의 전각을 세웠다.
금둔사는 납월매로 유명한 사찰로 납월매는 음력 섣달(납월)에 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인데 이곳의 매화는 다른 매화들보다 2달 정도 빨리 핀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전라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 황룡강 가을꽃축제 (0) | 2025.09.19 |
---|---|
[전라남도 곡성군] 2025섬진강국제실험예술제(SIEAF) (0) | 2025.09.11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 황토 갯벌축제 (10) | 2025.09.10 |
[전라남도 장흥군] 정남진 장흥 물축제 (5) | 2025.09.02 |
[전라남도 해남군] 명량대첩축제 (5) | 202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