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

[광주 서구] 양동통맥축제

반응형

양동통맥축제


- 홈페이지
https://www.xn--2q1bs8icolihm.kr/

- 광주광역시 서구
1588-5471

-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좌로 243 (양동)

호남 최대 전통시장인 양동전통시장에서 올해 세번째로 열리는 양동통맥축제는 먹거리, 즐길거리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가능한 시장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시장주도, 시민참여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로 시장별 특성을 반영한 K-콘텐츠를 확보하고자 한다. 맛, 멋, 흥으로 양동과 통하자는 의미를 담은 양동통맥축제는 전통시장의 통(通)과 115년의 역사의 맥을 잇는 맥(脈)을 합쳐 양동과 통한다는 뜻을 담은 축제 브랜드이다. 다시찾고 싶은 양동이라는 명성에 맞게 양동전통시장을 브랜딩하고, 천원 맥주라는 킬러 콘텐츠를 통해 세대를 어우르는 K-전통시장 축제로 자리매김 한다. 후한 시장인심과 맛있는 먹거리로 개개인의 취향에 부응해 새롭고 유연한 여행지로서의 양동전통시장을 보여주고, '양동통맥, 너랑 나랑 통했잖아!'를 슬로건으로 시장과 방문객과의 감정적 교류와 재방문을 꿈꾼다. 제3회 양동통맥축제에서는 다양한 시장먹거리를 선보이고, CHEERS STAGE로 대표되는 밴드 공연, 시장에서 일탈을 즐기기 위한 댄스인더마켓과 양동 EDM, 시장의 본질에 충실한 깜짝경매와 가족단위 관광객들을 위한 톡톡블럭, 어항캔들만들기 등 다양한 볼거리, 먹거리, 즐길거리가 펼쳐진다.

 


※ 소개 정보
- 행사 일정 : 2025-10-30 ~ 2025-11-01
- 이용요금 : 무료
- 행사 장소 : 양동전통시장 일원
- 공연시간 : 15:00~21:00
- 주최자 정보 : 광주광역시 서구
- 주최자 연락처 : 1588-5471
- 주관사 정보 : 양동전통시장 활성화 협의체




◎ 행사소개
호남 최대 전통시장인 양동전통시장에서 올해 세번째로 열리는 양동통맥축제는 먹거리, 즐길거리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가능한 시장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시장주도, 시민참여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로 시장별 특성을 반영한 K-콘텐츠를 확보하고자 한다. 맛, 멋, 흥으로 양동과 통하자는 의미를 담은 양동통맥축제는 전통시장의 통(通)과 115년의 역사의 맥을 잇는 맥(脈)을 합쳐 양동과 통한다는 뜻을 담은 축제 브랜드이다. 다시찾고 싶은 양동이라는 명성에 맞게 양동전통시장을 브랜딩하고, 천원 맥주라는 킬러 콘텐츠를 통해 세대를 어우르는 K-전통시장 축제로 자리매김 한다. 후한 시장인심과 맛있는 먹거리로 개개인의 취향에 부응해 새롭고 유연한 여행지로서의 양동전통시장을 보여주고, '양동통맥, 너랑 나랑 통했잖아!'를 슬로건으로 시장과 방문객과의 감정적 교류와 재방문을 꿈꾼다. 제3회 양동통맥축제에서는 다양한 시장먹거리를 선보이고, CHEERS STAGE로 대표되는 밴드 공연, 시장에서 일탈을 즐기기 위한 댄스인더마켓과 양동 EDM, 시장의 본질에 충실한 깜짝경매와 가족단위 관광객들을 위한 톡톡블럭, 어항캔들만들기 등 다양한 볼거리, 먹거리, 즐길거리가 펼쳐진다.



◎ 행사내용
1. 메인프로그램 : 양동먹거리와 천원맥주를 위시한 먹거리
2. 부대프로그램 : CHEERS STAGE, 댄스인더마켓, 양동 EDM, 깜짝경매, 통맥버스킹, 양동 길바닥 낙서존
3. 소비자 참여 프로그램 : 추억의 사연소개, 추억의 종이비행기 날리기, 체험부스(톡톡블럭, 플라워떡케익, 어항캔들, 슬라임)





2025 양동통맥축제 12025 양동통맥축제 22025 양동통맥축제 32025 양동통맥축제 52025 양동통맥축제 62025 양동통맥축제 포스터





◎ 주위 관광 정보

⊙ 유명회관

- 유명회관
062-512-5574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금남로131번길 18 (북동)

‘유명회관’은 순수 국내산 한우 암소만을 고집하는 음식점이다. 쌀, 김치도 순수 국내산만을 취급한다. 대표메뉴인 소 생고기는 잘 숙성되어 부드럽게 즐길 수 있다. 그 외에 꽃등심, 갈빗살이 맛이 있으며 생고기비빔밥, 육회비빔밥, 사골탕 등 다양한 식사메뉴도 준비되어 있어 취향껏 메뉴 선택이 가능하다. 식당 내부에는 좌석이 많아 회사 및 단체 손님이 많은 회갑, 결혼 피로연, 단체 모임을 하기에도 좋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금남로


-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일대 (금남로5가)

광주광역시 동구에 있는 2.3㎞의 길로 금남로 1~5가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 금남로 1가의 옛 전남도청에서 옛 광주 은행 사거리 518m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등 한국 현대사의 역사를 간직한 곳으로 2011년 8월 30일 광주시에 의하여 ‘유네스코 민주인권로’로 지정되었다.
금남로는 광주시민이 계엄군에 맞서 5·18 민중항쟁 기간 중 연일 격렬하게 저항했던 항쟁의 거리다. 5월 18일 가톨릭센터 앞에서 최초의 학생 연좌시위가 있었으며 5월 19일부터 수많은 시민들이 끊임없이 모여들어 투쟁의지를 불태웠다. 5월 20일 저녁에는 택시를 중심으로 100대 이상의 각종 차량이 참가한 대규모 시위가 있었다. 21일 계엄군의 집단 발포 전까지 30여 만 광주시민이 매일 운집, 군사독재 저지와 민주화를 촉구했던 금남로는 5·18 민중 항쟁을 상징하는 거리다.
이후에도 항쟁의 진실을 밝히려는 투쟁이 이 거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가톨릭센터에서는 민주화를 위한 시민 집회가 계속 열렸다. 지금도 광주에서 진행되는 행사나 집회, 축제 등은 모두 금남로를 거쳐 옛 전남도청(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으로 향한다.

⊙ 루치아


- 홈페이지
공식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lucia__1st

- 전화번호
062-352-0674

-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월산로116번길 22-1

토시살&볼로네제파스타, 포르치니 버섯크림 파스타, 돌문어 알리오올리오, 성게알 올린 오징어먹물크림, 고르곤졸라 시금치 피자, 스테이크 샐러드 피자, 한우 안심 돌판 스테이크, 리코타 치즈 계절 과일 샐러드 등을 판매하는 이태리 음식점이다. 매장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보는 풍경이 좋아서 데이트 장소로도 많이 방문하는 식당이다.

⊙ 드림피플엔터


- 홈페이지
공식 홈페이지 http://www.gjski.co.kr/
공식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kkim_pro

-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16 (구동) B1

드림피플엔터는 광주에 위치한 실내스키 교육 시설이다. 이곳은 사계절 내내 실내에서 초·중급 슬로프와 오토슬로프를 이용한 상급 강습을 제공한다. 또한, 무주덕유산리조트와 웰리힐리파크에서 스키캠프 및 현장 교육을 진행한다. 개인과 단체를 위한 스키 및 보드 교육 프로그램과 체험 학습도 제공한다. 드림피플엔터는 스키장비 수선, 보관, 판매 서비스도 운영하고 있는 곳이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김명화서리태콩국수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blacksoybean_noodles/

-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16 구동오피스텔

최상품 국산 서리태로 매일 오전과 오후 두 차례 콩물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식당으로 당일 판매를 원칙으로 하는 곳이다. 사계절 콩국수를 먹을 수 있는 식당으로 여름엔 시원하게 겨울엔 따뜻하게 즐길 수 있고, 팥칼국수는 10월에서 4월 사이에 먹을 수 있다. 깔끔한 실내에 아기 의자까지 별도로 비치되어 있어 가족 모두 편하게 즐길 수 있고 김치맛도 좋다. 감자 피를 사용해서 투명한 만두피에 국산 돼지고기를 아낌없이 채워 빚은 만두도 별미이다. 포장 판매도 가능한데 콩생면과 서리태 콩물을 같이 구매할 수 있다. 주차는 바로 앞 광주공원 주차장을 이용하면 된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 홈페이지
https://tour.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7 (구동)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은 안정미와 수려함이 넘치는 고려시대 탑으로 광주서오층석탑으로도 불린다.
광주공원 안에 거북머리와 같이 돌출된 지형 위에 세워져 있다.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은 광주광역시의 석탑 중 유일하게 1층 탑신이 상하로 나뉘었다. 두 탑의 1층 탑신 구성의 차이는 탑신 하부가 4매로 구성되었으며, 내부에 적심이 있다는 점이다. 또한, 광주광역시의 석탑 중 유일하게 1층 탑신 받침이 별석으로 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받침이 아주 두꺼우며, 특히 갑석의 부연은 갑석의 두께와 거의 비슷하다. 쌍탑으로 오해받는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광주 동오층석탑)과 비교하였을 때 기단부 탱주 수, 1층 탑신의 구성, 탑신 받침의 표현 등을 통하여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보다 늦은 시기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두 탑은 정혈의 위치와 수가 같은 점이 주목된다.

⊙ 광주광역시미디어아트플랫폼 GMAP


- 홈페이지
http://gmap.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10 (구동)

미디어아트플랫폼은 빛고을시민문화관과 아트스페이스에 자리 잡은 6개의 미디어 전시공간으로 미디어아트를 생활 속에서 접할 수 있도록 구축한 미디어아트 특화 공간이다.
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도시인 광주광역시가 세계의 창의도시들과 교류·소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미디어아트를 통하여 예술·산업·사회적 자산을 창의적으로 재구축하여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의 동력으로 활용하고자 조성하였다.
홀로그램 극장, 미디어 놀이터, 홀로그램 파사드, 미디어아트 아카이브, 미디어 338, 디지털 갤러리 등 총 6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홀로그램 극장은 콘텐츠를 입체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는 곳이며, 미디어 놀이터는 미디어아트를 통하여 어린이의 다중지능을 자극하는 놀이형 체험장이다. 디지털 갤러리는 미디어 놀이터 옆 1층 로비에서 볼 수 있는 미디어아트 전시장이다. 홀로그램 파사드는 국내 최초로 시도된 옥상 홀로그램 영상으로, 빛고을시민문화관 건물 옥상에 설치되어 있다. 미디어아트 아카이브에서는 광주광역시 미디어아트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미디어 338에서는 광주광역시 미디어아트의 현재를 만나 볼 수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빛고을시민문화관


- 홈페이지
http://bitculture.gjcf.or.kr

-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천변좌로338번길 7

빛고을시민문화관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의 새로운 복합문화시설로서 시민 정서 함양과 지역 문화예술의 창달을 위해 시민본위의 공연·전시, 쾌적하고 친숙한 문화예술공간 제공에 중점을 두고 운영하고 있다. 옛 구동체육관 부지에 2008년 11월 착공해 2010년 2월에 개관했다. 지하 2층, 지상 4층, 연면적 14,049㎡ 규모이며, 공연장(715석), 전시실, 다목적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지역 주민들을 위한 공연·전시 등 각종 문화행사와 각종 문화강좌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된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오리요리의 거리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경양로 125 (신안동)

광주오리요리의 거리는 오리를 적당히 잘라서 익힌 다음에 들깨가루를 섞은 초장에 고기와 미나리를 찍어 먹는 음식점이 밀집된 거리이다.
광주광역시 북구 유동과 신안동 일대에서 특화된 오리탕의 시초는 1970년대 무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에서 오리농장을 운영하던 한 청년이 보급한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음식점을 찾아다니면서 오리로스를 권장하다가 유동에서 식당을 운영하던 전라남도 영광군 출신 주인을 만났다. 청년은 식당 주인에게 자연산 청둥오리 요리법을 전해 듣고 미나리와 들깨가루를 넣어 끓여내는 오리탕을 개발하였다. 저렴한 가격에 오리가 공급되었고, 예측대로 담백한 오리탕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장사가 잘된다는 소문에 오리탕 전문점이 늘어나기 시작하여 지금의 오리요리 거리가 형성되었다.
북구 유동과 신안동 일대에서 오리탕 전문점이 많아질 수 있었던 것은 원재료인 오리 생산지가 인접했기 때문이었다. 또한 1970~1980년대 당시 유동과 신안동은 광주고속터미널과 중앙고속터미널, 광주역이 가까워 시민들과 외지인들의 이동량이 매우 많았다. 이와 같은 지리적 여건을 기반으로 유동 일대에만 30여 개의 오리탕 전문점이 생겨났다. 현재 유동오거리 주변에는 아직도 10여 곳이 성업 중이다. 광주광역시는 북구 경양로 일대를 음식특화거리로 지정하고 ‘광주오리요리의 거리’라고 이름을 붙였다.
메뉴는 오리탕, 오리로스, 오리주물럭이 대표적이다. 이 중에서 오리탕의 인기가 가장 좋은데, 다른 지역과 달리 국물 맛이 고소하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질그릇으로 만든 냄비나 솥에 된장과 간 고추, 들깻가루, 마늘, 생강 등을 넣고 토막 내 살짝 데친 오리고기를 넣어 4시간 이상 끓인다. 여기에 다시 된장으로 간을 하고 미나리와 대파를 얹어 내놓기 때문에 맛이 담백하다
광주오리요리의 거리는 광주광역시 북구 유동과 신안동의 경계지역에 자리하며, 중국인과 일본인들도 관광코스에 넣어 찾아올 만큼 이름이 있는 곳이다. 단일 음식이 특정 지역에 군집해 있는 경우는 종종 있으나, 그다지 대중적이지 않은 오리탕 메뉴로 특화거리를 형성하고 수십 년에 걸쳐 명성을 유지하는 사례는 드물다. 광주오리요리의 거리는 음식점 군락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

⊙ 풍년오리탕


- 풍년오리탕
062-527-6636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경양로 125

풍년오리탕은 오랜 전통의 오리탕 전문점이다.
생오리로스, 오리훈제, 전골, 주물럭 등 다양한 오리 요리를 맛볼 수 있다. 특히 향긋한 미나리를 곁들여 먹는 오리탕이 별미이자 대표 메뉴이다. 단체석과 연회석이 준비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에도 좋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