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문밖문화축제
- 홈페이지
http://jmbforum.org
- (사) 자문밖문화포럼
02-6365-1388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1길 5 (평창동) 자문밖문화포럼
2025년 자문밖문화축제는 ‘서울시민의 예술적 삶을 위한 Seoul Art Twilight(어스럼한 예술의 빛)’으로 진행된다. 역동하는 현대도시 서울의 도성밖으로부터 새어나오는 어스름한 여명(黎明)의 빛과 같은, 예술적 영감을 선사하는 문화 예술축제를 개최한다. 북한산 기슭, 아름다운자연과 더불어 국내예술 문화를 견인해온 자문밖과 종로구, 서울시의 다양한 세대의 예술가들과 시민들을 연결하고 저마다의 예술적 삶을 질문하고 제안할 수 있는 전시와 공연, 포럼, 워크샵, 지역탐방 등의 행사를 개최한다.새로운 미학적 실험을 펼쳐가고 있는 신진작가들부터 국내 예술의 중추를 담당하는 중견작가와 컬렉터, 비평가, 학생, 일반인 모두가 함께 소통하는 자율적이고 대안적인 예술 생태계를 자문밖의 곳곳에 조성된다.
※ 소개 정보
- 행사 일정 : 2025-09-16 ~ 2025-09-16
- 이용요금 : 입장료 무료 (부분 유료 - 프로그램별 상이 7,000원 ~ 30,000원)
- 행사 장소 : 자문밖문화포럼
- 공연시간 : 10:00~18:00 (프로그램별 상이)
- 주최자 정보 : (사) 자문밖문화포럼
- 주최자 연락처 : 02-6365-1388
◎ 행사소개
2025년 자문밖문화축제는 ‘서울시민의 예술적 삶을 위한 Seoul Art Twilight(어스럼한 예술의 빛)’으로 진행된다. 역동하는 현대도시 서울의 도성밖으로부터 새어나오는 어스름한 여명(黎明)의 빛과 같은, 예술적 영감을 선사하는 문화 예술축제를 개최한다. 북한산 기슭, 아름다운자연과 더불어 국내예술 문화를 견인해온 자문밖과 종로구, 서울시의 다양한 세대의 예술가들과 시민들을 연결하고 저마다의 예술적 삶을 질문하고 제안할 수 있는 전시와 공연, 포럼, 워크샵, 지역탐방 등의 행사를 개최한다.새로운 미학적 실험을 펼쳐가고 있는 신진작가들부터 국내 예술의 중추를 담당하는 중견작가와 컬렉터, 비평가, 학생, 일반인 모두가 함께 소통하는 자율적이고 대안적인 예술 생태계를 자문밖의 곳곳에 조성된다.
◎ 행사내용
사전행사
자문밖 미래포럼
일시 : 9월 4일 14:00-16:00
장소 : 가나아트센터 3층 아카데미홀 (서울 종로구 평창30길 28)
주제 : 창조적인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환경, 자문밖
발표자 : 김현수(제주대학교 교수), 김은영(콘트라포스트 대표)
사회자 : 이경미(제5기 자문밖 아트레지던시 작가)
패널
김현수(제주대학교 교수), 김은영(콘트라포스트 대표)
정재호(종로구의원), 임근래(도시재생 국장), 정윤규(주민대표)
무료예매 : https://buly.kr/FLYjFfg
문의 : 010-5387-5198
[본 행사]
1. 개막공연__궁중무, 아름다운 태평성대의 춤
역사와 예술, 동양철학의 미가 어우러진 태평성대의 궁중무, 정재(呈才)
일시 : 9월 19일(금) 19:30-21:00
장소 : 서울아트센터 도암홀 (서울 종로구 평창문화로 70 도암)
감독 : 김영숙 (국가무형유산 종료제례악 일무 전승교육사)
출연자 : 정재연구회, 화동정재예술단
무료예매 : https://buly.kr/DwEfP9s
문의 : 010-9246-0415
2. 자문밖 서울현대예술전
볼 수 없는 눈을 보다Seeing the Unseen Eye
일시 : 9월 16일(화)~ 21일(일)
*오픈식 9월 16일(화) 16:00-17:00
장소 : 가나아트센터 (서울 종로구 평창30길 28)
감독 : 나일민(국민대 교수, 시각예술), 이민(가톨릭대 교수, 공간·디자인), 정미선(국민대 교수, 공예·디자인)
문의 : 010-5387-5198
3. 자문밖 아트레지던시 콜렉티브전
일시 : 9월 16일(화) – 21일(일) 10:00-18:00
장소 : 자문밖 아트레지던시, 팔각정, 프린트베이커리, 평창동-부암동 거리
참여작가 : 제5기 자문밖아트레시던시 작가
프로그램
– 우발적 축제 : 입주작가 그룹전시
– 흔적없는 흔적 : 야외전시
– 도시시작-움직이는 아틀리에 : 거리행진 퍼포먼스
– Opne Solo Jam Practice : 참여형 퍼포먼스
– 햇님, 딸램, 써니, 코알라, LV, 땔, 돼지콩크리트, 하쿠 그리고 : 오픈 스튜디오
무료예매:https://buly.kr/EI4EEXS
문의 : 010-9975-5106
4. 자문밖 예술산책
서울의 예술 길, 종로. 수백년의 역사와 동시대 예술을 단 하루에
일시 : 9월 17일(수) – 20일(토) 11:30-17:30
코스 : 일자별로 상이, 상세페이지 참고
프로그램
1. 자율형
- 하루동안 순환버스를 타고 자율 탐방
2. 동행형
- 아트가이드와 함께 곳곳을 누비는 그룹 탐방
예매: https://buly.kr/7mCFBAC
문의: 010-5387-5198
5. 자문밖 오픈 콘서트
일시 : 프로그램별 상이, 예매페이지 참고
장소 : 부암아트홀 (서울시 종로구 자하문로 242), 포레드뮤지끄 (서울시 종로구 평창문화로 75 A동 409호)
프로그램
– 우지연(Cello) 안미현(Piano)
– 이기정(Piano) 윤경희(Violin) 김준환(Cello) /부암아트홀
– 임호열 <라벨 탄생 150주년 기념 전곡 사이클 연주 I,II,III> /포레드뮤지끄
예매/문의
부암아트홀 > 전화예매 010-8808-2423
포레드뮤지크 > 카카오톡 예매(모바일 전용) https://bit.ly/45xLjuI /010-2288-2943
6. 워크숍
일시/장소:프로그램별 상이, 예매페이지 참고
대상 : 성인
프로그램
- 킨츠기의 시간 https://buly.kr/uUeMLp
- 나만의 유리컵 만들기 https://buly.kr/9XLmQKw
- 칠보 별자리 시계 만들기(벽걸이형) https://buly.kr/5q7rp9x
7. 자문밖 키즈 프로그램
일시/장소:프로그램별 상이,예매페이지 참고
대상 : 어린이
프로그램
- 도시를 탈출하는 몸 https://buly.kr/CLztRNJ
- 손으로 만지는 확장현실(XR) https://buly.kr/CskANqY
- 그림책과 함께하는 몸짓과 상상의 무대 https://buly.kr/Awfpasq
8. 폐막잔치
일시 : 9월 21일(일) 17:00-20:00
장소 : 가나아트센터 팔각정 (서울 종로구 평창30길 28)
주제 : 당신이 본 것과 보지 못한 것 그러나 우리가 함께 볼 수 있는 것들에 대해
프로그램
- 피날레의 전주 (공연)
- 재즈 공연 및 아트 토크
◎ 주위 관광 정보
⊙ 평창동 미술관 거리
- 홈페이지
http://tour.jongno.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2길 8 (평창동)
평창동 미술관 거리는 1980년대 후반부터 미술관과 화랑이 평창동에 줄줄이 들어서면서부터 평창동 미술관 거리가 형성되었다. 한국 현대조각의 선구자인 우성 김종영 선생을 기념하는 김종영미술관, 갤러리와 카페가 함께 있는 키미(KIMI)아트 외에도 갤러리세줄, 디방, 아트 스페이스 풀, 자하미술관 등 독특하고 다양한 콘셉트의 미술관이 많다. 1992년 토탈미술관이 개관한 데 이어 이응노미술관이 문을 열었다. 도자기 전문의 셀라뮤즈박물관도 선보인 지 오래되었다. 화랑으로는 국내 최대인 가나아트센터가 98년에 평창동으로 이사를 오면서 평창동은 미술과 예술의 거리가 되었다.
북한산이 보이는 조용한 동네 일대에 박물관과 음식점, 카페 등이 모여 있어 미술을 즐기는 사람뿐 아니라 이곳의 편한 분위기를 즐기며 산책하는 사람들도 많이 찾는 동네다. 그래서 평창동 일대에 사는 미술인이 100명이 넘고 도심의 문화예술 거리인 인사동까지의 접근성도 좋아서 전시회나 그림 작품을 감상하기 위해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 토탈미술관
- 홈페이지
http://www.totalmuseum.org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2길 8 (평창동)
토탈미술관은 전시회뿐 아니라 다양한 문화 행사를 진행하는 복합문화공간이다. 문화에 대한 제도적 기반이 없었던 1976년 동숭동 대학로에서 디자이너를 위한 토탈갤러리로 시작하여 경기도 장흥에 국내 최초의 야외조각공원 형태의 미술관을 설립하였다. 미술관 개념의 확대와 더불어 서울 종로구 평창동에 현대예술 전반을 통섭하는 전시장을 마련하였는데, 이곳은 국내외 현대미술품 전시뿐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문화를 폭넓게 수용하는 복합문화공간이다. 특히 회원들을 대상으로 개설된 교육 프로그램과 미술관 음악회는 수준 높은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토탈미술관은 비탈길의 경사를 등지고 전면을 향해 활짝 열린 건물과 데크 공간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꽃들이 활짝 핀 마당의 봄에서부터 하얀 눈꽃이 나무마다 맺히는 겨울까지의 계절을 가득 담고 있다. 마당에 덩그러니 놓인 베르나르 브네의 작품은 세월과 문화를 자연스럽게 녹아내는 미술관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준다.
1층 아카이브 공간을 지나 지하로 내려가면 돌출된 바위벽을 그대로 가진 전시실과 밖을 향해 유리창이 전면으로 트인 전시실이 있다. 한층 아래에는 압도적으로 높은 층고의 전시 공간을 만나게 된다. 이처럼 전시장 또한 내부와 외부를 넘나드는 복합적이고 열린 공간으로서 예술적 에너지를 가득 담고 있고, 미술관 공간 구성 자체도 현대미술의 역동적인 힘을 반영하고 있다. 토탈미술관은 설립자인 문신규 건축가가 설계하였으며, 한국건축가협회에서 수여하는 [올해의 건축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가나아트센터
- 홈페이지
http://www.ganaart.com/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0길 28 (평창동)
가나아트센터는 북한산 자락의 평창동에 위치하고 1983년에 개관한 갤러리이다. 세계적인 건축가 장 미셀 빌모트가 설계하여 2개 층, 3개의 주요 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야외 공연장, 아카데미홀, 공예관 등의 부대시설을 갖춘 850평 규모이다.
가나아트센터의 전시는 개인 초대전에서 작고 거장의 유작전, 주제 기획전 등 다양한 형식과 장르를 아우르며, 동서를 가로지르고 고금을 꿰뚫는 폭넓은 시야로 고미술과 현대미술 전시 등 통일성과 다양성을 구현해 오고 있으며, 전시기획 및 아카데미강좌 개설 등과 더불어 전시와 연계한 음악, 무용, 연극, 마임 등 타 장르와의 연계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보다 다양해진 관람객의 문화 향수 욕구에 부응하고자 한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카페 모뜨
- 카페 모뜨
02-379-6500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0길 24
카페 모뜨는 평창동 서울 옥션과 가나아트갤러리 근처에 있는 이탈리아 음식을 선보이는 카페 겸 레스토랑이다. 테라스에서는 북한산이 보여 전망이 좋으며, 근처 갤러리에 들러 전시 관람 후 이용하기에도 좋다. 경치 좋은 이곳 모뜨에서는 식사와 음료를 모두 즐길 수 있다. 예약은 식사 손님만 가능하며 음료를 즐기러 오시는 손님은 도착 순서대로 입장 가능하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상원미술관
- 홈페이지
http://www.imageroot.co.kr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1길 27 (평창동)
상원미술관은 공예와 디자인 전문 미술관이다. 2003년 9월 개관하여 공예, 사진, 디자인 문화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문화콘텐츠를 보급하기 위해 디자이너와 공예작가들의 내실 있는 전시를 진행해 오고 있다. 미술관에는 작품들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수집하여 보존하는 수장고, 자료실 등이 있으며, 연구기관인 민속공예 연구소, 공예디자인 연구소, 디지털 디자인 연구소가 설치되어 있다.
개관 이래 공예디자인 전문 미술관으로서의 정체성을 꾸준하게 견지해 왔으며, 부설 민속공예 연구소를 통해 사라져가는 민속공예의 발전적 계승, 모델의 구축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 개발 활동도 전개하고 있다. 상설전시관을 포함한 3개의 전시실에서는 완초공예, 박공예 등의 전시회를 지속해서 개최한다.
이 외에도 영유아부터 성인에 이르는 다양한 공예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전문 아트 작가들과의 콜라보레이션 아트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문화상품 아트숍도 운영하고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강촌쌈밥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0길 9
강촌쌈밥은 평창동 상명대학교 박물관과 토탈미술관 사이에 있다. 매장은 단독 건물이고, 앞마당에 전용 주차 공간이 크다. 자동차로 이용하기 편리하다. 내부는 황토색 테이블과 마룻바닥이 눈에 들어온다. 큰 홀과 테이블 사이사이가 넓어 각종 단체 행사나 가족 모임에 적합하다. 대표 메뉴는 쌈밥이다. 정갈한 밑반찬과 다양한 야채로 한 상 가득 채워진다. 특히 쌈은 매장에서 직접 유기농으로 키운 각종 야채로 강촌쌈밥의 강점이다. 쌈밥에 편육을 추가해 먹는 게 인기가 많다. 마지막에 누룽지 밥도 먹을 수 있다. 주변에 영인문학관, 김종영미술관 등이 있어 식사 후 둘러보기 좋다.
⊙ 상명대학교 박물관
- 홈페이지
http://museum.smu.ac.kr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문화로 151 (평창동)
상명대학교 박물관은 상명학원의 설립자 계당 배상명 선생의 수집, 기증 유물을 바탕으로 출발하였다. “정의, 사랑, 진리의 이념 하에 개성을 신장시키고, 덕성을 함양하며 깊이 있는 학문을 연구하게 하여 문화 창조와 복지국가를 건설하는데 공헌할 수있는 성실하고 유능한 인재를 육성한다”는 창학 정신을 받들어 우리문화를 느낄 수 있는 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1967년 ‘상명여자사범대학 부속민속관’을 시작으로 1995년 도서관 1층에 전시실을 개관하면서 박물관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었고, 미술관이 밀집되어 있는 평창동으로 이전하여 대학박물관으로 거듭났다. 상명대학교 박물관은 인사동, 부암동, 평창동 지역을 연계하는 문화예술의 허브 역할과 함께 대학박물관의 연구, 교육 능력을 활성화하고 지속적인 전시기획과 다양한 교육 및 체험 컨텐츠를 개발하여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고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평창동 북악정
- 북악정(이상갈비)
02-394-2340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6길 6
도심 속 푸른 자연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30년 넘는 노하우가 고루 밴 양념갈비의 맛은 계절별로 바뀌는 푸짐한 찬과 어우러져 오감을 즐겁게 한다. 담소를 즐길 수 있는 라운지를 무료로 제공한다.
⊙ 김종영미술관
- 홈페이지
http://kimchongyung.com/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2길 30 (평창동)
2002년 12월 15일 개관한 김종영미술관은 ‘우성(又誠) 김종영’ (1915-1982)의 삶과 예술 세계를 재조명하고 후진 양성에 매진하고 있는 곳이다. 또한 초창기 조각계를 형성하는데 크게 기여한 그 뜻을 기리며 조각 예술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미술관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종영미술관은 김종영의 작품들을 다각도로 보여주는 기획 전시를 기본으로 <우성 김종영미술상 수상전>, <오늘의 작가>, <창작지원전> 등 다양한 전시를 기획하고 개최하고 있다. 또한 작가 정신이 있는 젊은 작가들을 발굴하고 지원하여 한국 미술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며 다양한 예술에 관한 전시로 거듭나 현 미술계에 성장하는 미술관이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금보성아트센터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kimboseong_artcenter_official/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6길 20 (평창동)
금보성아트센터는 평창동에 위치한 미술관으로 지하 2층과 지상 2층의 건물로 되어있다.
금보성아트센터의 관장은 2012년 그로리치 화랑을 인수했다. 70년대 비구상 전문 상업 화랑이던 이곳을 [갤러리 평창동]으로 개명한 뒤 무명의 작가들을 초대하는 전시회를 열었다. 1년 뒤 문을 연 금보성아트센터는 원래 김흥수미술관이었다.
아트센터 입구에는 [창작의 짐을 짊어진 자유로운 영혼의 쉼터] 플랭카드가 늘 걸려있다.
이곳은 작가들에게는 [갤러리의 성지]라고 불리는데 형편이 어려운 화가나 신인 화가에게 아트센터를 무료로 빌려주고 홍보까지 대행하기 때문이다.
금보성 관장은 다른 나라와 협연을 하며 아크코리아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한국 작가의 위상을 위해 [한국작가상]을 제정헸다. 한국작가상은 국내외 60세 이상, 5,000점 이상의 작품을 만들어온 작가에게 주는 상으로 큰 금액의 상금도 주어진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신인 작가에게도 [올해의 창작상]을 수여하여 자유로운 창작활동에 도움을 주고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강북구] 백년시장 백년나이트 (0) | 2025.09.16 |
---|---|
[서울 송파구] 청춘, 커피페스티벌 (1) | 2025.09.15 |
[서울 서초구] 19금 신비파티 in 서초 (0) | 2025.09.12 |
[서울 은평구] 은평청년축제 (0) | 2025.09.11 |
[서울 중구] 덕수궁 밤의 석조전 (1) | 2025.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