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라남도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 다미담주 페스티벌 쓰담쓰담 야시장

반응형

담양 다미담주 페스티벌 쓰담쓰담 야시장


- 홈페이지
https://daeinya.imweb.me/

- 쓰담쓰담야시장 운영사무국
010-9903-0209

- 주소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담주4길 24-46

죽녹원과 떡갈비로 유명한 전남 최고 관광지 담양군에서 10월~11월에 야시장 축제를 개최한다. 담양예술구인 다미담길과 새롭게 개소된 담양시장과 5일장이 위치한 쓰담길을 권역으로 맛, 멋, 흥이 함께 있는 쓰담쓰담야시장이 총 3회 개최된다. 전라도 대표 먹거리와 야시장 공연을 함께 느낄 수 있는 주말 관광지로 추천한다. 쓰담쓰담야시장은 담양 쓰담길에서 열리는 로컬야시장으로 지역 예술인과 전남도립대학교 청년 버스커들이 함께하는 공연행사이며 25년 7월 새롭게 시작되었다. 담양의 아름다운 대나무숲과다미담 예술구의 고택이 멋진 야경을 선사하며 이번 행사는 시즌 2 야시장으로써 총 3회를 진행 예정이다. 참여 공연은 재즈, 트로트, 버스킹 등 다양한 장르를 10여명의 뮤지션들이 가을밤의 야시장 버스킹을 선사하며 전문 MC 'MR.GO'와 함께하는 시민이벤트도 다채롭게 진행될 것이다.

 


※ 소개 정보
- 행사 일정 : 2025-10-25 ~ 2025-11-08
- 이용요금 : 무료
- 행사 장소 : 쓰담쓰담야시장
- 공연시간 : 14:00~20:00
- 주최자 정보 : 쓰담쓰담야시장 운영사무국
- 주최자 연락처 : 010-9903-0209
- 주관사 정보 : 담양군청 경제교통과




◎ 행사소개
죽녹원과 떡갈비로 유명한 전남 최고 관광지 담양군에서 10월~11월에 야시장 축제를 개최한다. 담양예술구인 다미담길과 새롭게 개소된 담양시장과 5일장이 위치한 쓰담길을 권역으로 맛, 멋, 흥이 함께 있는 쓰담쓰담야시장이 총 3회 개최된다. 전라도 대표 먹거리와 야시장 공연을 함께 느낄 수 있는 주말 관광지로 추천한다. 쓰담쓰담야시장은 담양 쓰담길에서 열리는 로컬야시장으로 지역 예술인과 전남도립대학교 청년 버스커들이 함께하는 공연행사이며 25년 7월 새롭게 시작되었다. 담양의 아름다운 대나무숲과다미담 예술구의 고택이 멋진 야경을 선사하며 이번 행사는 시즌 2 야시장으로써 총 3회를 진행 예정이다. 참여 공연은 재즈, 트로트, 버스킹 등 다양한 장르를 10여명의 뮤지션들이 가을밤의 야시장 버스킹을 선사하며 전문 MC 'MR.GO'와 함께하는 시민이벤트도 다채롭게 진행될 것이다.



◎ 행사내용
- 주요프로그램 : 야시장 / 공연 / 다미담주 공예체험 / 먹거리존 / 메타버스 AR 게임 등
- 부대 행사 및 프로그램 : 미술전시관 팝업스토어 등









◎ 주위 관광 정보

⊙ 신식당

- 신식당
061-382-9901

- 주소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담주2길 18-13

1932년 창업해 오늘날까지 4대째 이어져 내려오는 식당이다. 메주, 조선간장, 고추장 등을 직접 담그는 것이 특징으로 음식에서 깊은 맛이 느껴진다.

⊙ 승일식당

- 홈페이지
http://seungilrib.kr/

- 승일식당
061-382-9011

- 주소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중앙로 98-1

승일식당의 돼지갈비는 적당히 기름기가 있고 부드러운 고기를 선별해 참나무 숯불에 세 번씩 따로 구워내기에 더 담백하고 감칠맛이 나는 것으로 유명하다.

⊙ 덕인갈비


- 덕인갈비
061-381-2194

- 주소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담주1길 6

50년 넘는 전통의 덕인갈비는 한우 암소갈비만을 고집한다. 한우 갈빗살 불고기는 규격 한우갈비만을 엄선하여 일정 크기로 자르고 갈빗살 사이의 기름을 제거한 후 갈비뼈에 붙은 갈빗살 그대로를 떨어지지 않도록 정성껏 잔칼질을 함으로써 씹을수록 갈비 고유의 쫄깃함과 고소함을 더할 수 있는 음식이다. KBS, SBS, MBC 등 각종 언론매체에도 방영된 바 있는 음식점이다.

⊙ 베트남식당&마트


- 주소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중앙로 92-1

먼발치에서도 두 눈을 사로잡는 민트색 외관의 베트남식당&마트는 베트남인이 운영하는 식당 겸 마트이다. 메뉴판부터 베트남어와 한글이 같이 적혀 있어 잠시나마 베트남으로 여행하러 온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쪽파, 양파와 숙주를 잘 익은 소고기로 싸 먹으면 진한 육수의 풍미를 더욱 느낄 수 있다. 강한 향신료나 고수를 싫어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생숙주, 고수, 고추가 각각 따로 나와서 기호대로 넣어 먹을 수 있다. 쌀국수, 볶음밥, 짜조, 분짜, 반꾸온, 반미 등 메뉴 구성도 다양하고 깔끔하고 담백한 맛이 일품이다. 과일, 향신료, 소스, 음료 등 베트남 식자재도 구매할 수 있다. 주차장은 따로 없지만 주변 공영주차장을 이용하면 된다.

⊙ 청운식당


- 청운식당
061-381-2436

- 주소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담주1길 7

걸직한 시레기에 미꾸라지를 갈아 넣은 후, 끓여 내놓은 추어탕맛은 어느 집이나 같겠지만 전통을 고집하는 된장국 소뼈의 진국을 가미한 맛은 가히 자랑할 만한 전통 음식이다. 안주로 내놓은 순대 역시 연하고 구수한 맛을 내고 있다.

⊙ 칠링스카페


- 주소
전라남도 담양군 객사2길 14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을 연상케 하는 대리석 기둥이 공간을 더욱 힙하게 만든다. 힙한 감성을 느끼고 싶다면 꼭 한 번쯤 방문해 볼 만한 카페다. 대표 메뉴인 콜드브루는 맛이 깊고 깔끔하여, 손님들이 즐겨 찾는 메뉴다. 스파우트 파우치로 나와 언제 어디서나 딱 한 잔 진하게 즐기고 싶을 때 편하게 휴대하기도 좋다. 월넛과 살구를 넣은 허니 케이크도 인기 메뉴로 달콤한 살구의 풍미가 입안 가득 퍼진다. 공간마다 서로 다른 분위기를 연출하여, 기분 전환하기에 좋은 카페이다. 메타프로방스, 담양관방제림 등 관광지가 있어 연계하여 즐기기 좋다.
※ 반려동물 동반가능 (목줄, 배변봉투 지참)

⊙ 담양LP음악충전소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lpmusic.damyang/

- 주소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중앙로 83

담양LP음악충전소는 담양군과 광주 MBC의 협업으로 만들어진 미디어 복합문화공간이다. 이 공간은 담양군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성공적인 추진과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광주 MBC가 소장하던 3만여 장의 LP와 5천여 장의 CD를 이곳으로 옮겨와 시민들이 직접 청음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하였다. 매장 1층에서 음료 주문 후 2층에서 LP를 직접 골라 청음 할 수 있고 주말에는 3층에서 디제이와 함께 실시간 신청곡 이벤트를 즐길 수 있다. 다양한 음악과 함께 과거의 감성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소바집 본점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damyang_sobajip/

- 주소
전라남도 담양군 객사2길 11-24

요즈음 담양 국수거리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평범한 잔치국수, 비빔국수에서 좀 더 다양한 재료(댓잎, 우리 밀)를 활용한 국수까지 다양해졌다. 그중 결이 확실히 다르다고 할 만한 집이 이곳 소바집이다. 가다랑어 육수와 메밀면을 직접 뽑아내기에 기존 국숫집과는 확실히 구분된다. 사장님은 일본에서 들여온 기계를 보여주며 국내에 두 대밖에 없는 비싼 거라고 자랑한다. 더울 때는 시원한 냉육수에 메일 한 판을, 따끈한 것이 필요할 때는 온 메밀국수로 여행의 기분을 한층 더 낼 수 있는 곳이다.

⊙ 죽순닭국수


- 주소
전라남도 담양군 객사3길 15

늦가을에 심어 초여름에 수확하며, 농약을 사용하지 않아 안전한 우리밀을 사용하는 우리밀국수 전문점이다. 항산화, 항노화 효과가 뛰어난 순수 우리밀로 직접 뽑은 국수만을 사용하여 건강은 물론 우리 농민과 환경을 함께 살리는 국숫집이라 할 수 있다. 멸치국수, 죽순닭국수, 비빔닭국수 외에도 여름에는 초계국수, 콩물국수, 열무비빔국수를 시원하게 즐길 수 있다. 담양 국수거리 바로 옆에는 영산강이 있어 들러보길 추천한다.

⊙ 담양제과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damyang_zegwa/#

- 주소
전라남도 담양군 추성로 1318

담양제과는 대나무를 이용한 디저트를 즐길 수 있는 곳으로 대표 메뉴는 대나무 우유와 케이크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수상, 한국관광공사 인증 ‘한국 관광명품’으로도 선정된 대나무 우유와 케이크는 댓잎 시트를 기본으로 대나무 통에 숙성시켜서 깊은 대나무 향을 느낄 수 있다. 담양에서만 맛볼 수 있는 대나무 케이크는 여행 선물로도 제격이다. 그 외 흑임자 파운드케이크도 인기 메뉴인데 특유의 회색 흑임자가 할머니의 파마머리를 연상시킨다고 해서 ‘할머니 케이크’로도 불린다. 담양의 주요 관광지인 죽녹원, 메타세쿼이아길에서 차로 5분 거리에 있어 연계 관광이 수월하다.
※반려동물 동반 가능(단, 배변봉투와 리드줄 지참)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