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새재 달항아리야행
- 홈페이지
http://www.문경새재야행.com
- 문경시
054-571-0901
-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32
문경새재 달항아리야행은 조선시대 옛길과 문경의 문화유산을 그대로 간직한 문경새재도립공원 일원에서 진행하는 문화유산 야간 향유 프로그램이다. 자연유산과 역사 유적, 그리고 전통 공예 장인들과 문인들의 문화유산을 이야기로 엮고, 이를 야간 문화콘텐츠로 운영하여 문화유산 관광사업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마련된 문화유산 향유 야간 행사이다. 문경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인 문경새재와 조령관문, 국가무형유산 김정옥 사기장과 이봉주 유기장 명예보유자, 국가무형유산 김삼식 한지장, 경북도 이학천 사기장, 김종섭 불화장, 김시인 자수장, 그리고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아리랑의 모태 문경새재 아리랑과 송옥자 보유자 등 문경의 무형문화유산과 더불어 주요 국가무형유산인 봉산탈춤도 선보인다. 또한 문경공예인협회를 중심으로 문경의 공예와 다양한 문화예술인을 연계하고, 문경시 전역에 흩어져있는 112개의 문화유산 중 총 41점의 문화유산을 주제로 야경, 야로, 야설, 야사, 야화, 야시, 야식, 야숙 8개 카테고리의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 소개 정보
- 행사 일정 : 2025-10-10 ~ 2025-10-11
- 이용요금 : 무료(일부 체험프로그램 유료)
- 행사 장소 : 문경새재도립공원, 옛길박물관, 문경새재오픈세트장
- 공연시간 : 17:00~22:00
- 주최자 정보 : 문경시
- 주최자 연락처 : 054-571-0901
- 주관사 정보 : 문경국가무형유산전수관, (주)백산헤리티지
◎ 행사소개
문경새재 달항아리야행은 조선시대 옛길과 문경의 문화유산을 그대로 간직한 문경새재도립공원 일원에서 진행하는 문화유산 야간 향유 프로그램이다. 자연유산과 역사 유적, 그리고 전통 공예 장인들과 문인들의 문화유산을 이야기로 엮고, 이를 야간 문화콘텐츠로 운영하여 문화유산 관광사업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마련된 문화유산 향유 야간 행사이다. 문경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인 문경새재와 조령관문, 국가무형유산 김정옥 사기장과 이봉주 유기장 명예보유자, 국가무형유산 김삼식 한지장, 경북도 이학천 사기장, 김종섭 불화장, 김시인 자수장, 그리고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아리랑의 모태 문경새재 아리랑과 송옥자 보유자 등 문경의 무형문화유산과 더불어 주요 국가무형유산인 봉산탈춤도 선보인다. 또한 문경공예인협회를 중심으로 문경의 공예와 다양한 문화예술인을 연계하고, 문경시 전역에 흩어져있는 112개의 문화유산 중 총 41점의 문화유산을 주제로 야경, 야로, 야설, 야사, 야화, 야시, 야식, 야숙 8개 카테고리의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 행사내용
1. 야경 : 새재길 역사 밤 풍경: 빛의 달항아리 문경새재를 밝히다
- 달항아리 한지등 거리: 문경새재 밤하늘 아래 잔잔하게 흔들리는 한지등의 몽환적 빛과 야행으로의 여행을 떠나보자.
- 소.품.달(소망을 품은 달항아리): 투명 대형 달항아리에 소원을 적은 종이를 넣어 채워보는 방문객 주도 참여프로그램
- 소.적.달(소망을 적는 달항아리): 이루고 싶은 간절한 소망을 달항아리에 살며시 적어보자.
2. 야로 : 2025 문경현감 달맞이행차
- 문경현감 달맞이 행차: 문경 현감과 야행 참여자 300여명이 문경새재의 야행을 알리는 행차를 진행
- 문경별시: 도전! 조령관문 장원급제: 옛길박물관을 시작으로 조령관문을 지나 시험을 보러 가는 흥미진진한 여정. 문경별시 정답자에게는 35,000원 상당의 상품이 주어진다.
- 새재길 괴나리봇짐: 폐의류를 활용해 문경시 소상공인들이 직접 디자인해 제작한 업싸이클링 괴나리봇짐
- 미니 달항아리 등불 행렬: 미니 달항아리에 소원을 담아 등불을 켜보자.
- 소원이 이루어지길 바라는 마음과 함께 문경새재길을 따라 걷는 등불 행렬 새재로운 미래로!: 기후변화대응 전통 지혜와 무형유산 발굴 프로젝트
3. 야설 : 방짜유기 좌종, 문경을 노래하다.
- 방짜유기 좌종, 문경을 노래하다: 국가무형유산 이봉주 유기장의 좌종에서 영감을 받아 공연화환 프로그램
- 문경 모전들소리 시민 한마당: 경상북도 무형유산 문경 모전들소리 40여명의 회원과 문경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흥겨운 길놀이 한마당!
- 문경새재 봉산탈춤 공연: 국가무형유산 봉산탈춤 초청 공연. 우리의 전통 탈과 함께 경쾌하고 활발한 곡조에 담긴 해학과 풍자!
- 문경새재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문경시 보호문화유산 송옥자 문경새재아리랑 보유자의 아리랑 무형유산 공연
- 치유의 별빛명상: 문경 지역에서 활동하는 청년 음악인들의 명상 공연
4. 야사 : 조선 왕실의 마지막 사기장, 문경 김비안(1860-1929)
- 조선 분원의 마지막 사기장, 문경 김비안(1860-1929): 국가무형유산 김정옥 사기장의 300년 도자 가문 스토리텔링 프로그램
- 기후변화대응과 문경 국가유산 강연: 국가유산 관련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기후 문제를 인식하고 대응 방안과 친환경 실천 방안을 논의하는 전문가 초청 특강
- 찾아라! 문경의 역사인물: 문경의 국가유산 관련 주요 역사인물 5인을 선정하여 행사장 내에서 역사인물을 찾아 퀴즈를 풀어보는 미션형 프로그램
5. 야화 : 루브르(Musée du Louvre), 문경 한지의 마법에 매료되다.
- 루브르(Musée du Louvre), 문경 한지의 마법에 매료되다: 국가무형유산 김삼식 한지장의 작업 공정과 활동 스토리텔링 프로그램
- 조선백자, 우리 모두의 염원을 담다: 경상북도 무형유산 이학천 사기장의 조선백자 전시
- 달항아리 캐리커쳐: 문경새재 달항아리 야행 참가자들의 감정이 드러나는 특징을 달항아리 도자기에 캐리커쳐로 담아내어 그 날의 추억을 도자기에 담아보는 체험 프로그램
- 자수로 수놓은 조선의 풍속화: 경상북도 무형유산 김시인 자수장이 한국 전통자수의 제작과정을 시연하고 자수 제작의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 사기장의 발물레: 손끝으로 빚고 발끝으로 돌린다. 국가무형유산 김정옥 사기장이 들려주는 발물레 이야기.
6. 야시 : 문경공예와 우리
- 문경공예와 우리: 문경공예인협회 회원 25명이 함께 만들어가는 새재길 공예 공방거지로
- 사기장 도예교실 ‘백자연희’ 전시: 국가무형유산 김정옥 사기장의 도예교실에 참여한 아마추어 시니어 및 장애인 회원들이 정성껏 빚어낸 우리 생활그릇 도자기 전시/판매 프로그램
- 문경새재 달항아리야행 시 낭송 대회: 문경의 국가유산을 주제로 시 낭송 마당 개최
7. 야식 : 문경새재 수라간
- 문경새재 소주방: 조선시대 수라간을 재현하여 궁중 음식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 문경새재 생과방: 조선왕조실록의 내용을 토대로 실제 임금이 먹었던 궁중병과와 궁중약차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다과 프로그램
- 문경새재 사온서: 조선시대 궁중에서 술의 제조와 공급을 맡아보던 사온서를 재현하여 문경의 특산주와 안주를 엄선하여 제공하는 프로그램
- 고마워요! 문경 에코맘: 기후변화대응 및 관리를 위해 미래 세대를 가장 가까이에서 교육할 수 있는 학부모들로 구성된 ‘문경 에코맘’이 에코 푸드를 개발하고 시식할 수 있도록 홍보하는 프로그램
8. 야숙 : 문경새재 별빛캠핑
- 문경새재 조령관문 앞 잔디마당에 위치하여 자연유산과 문화유산 속에서 즐기는 별빛 캠핑
◎ 주위 관광 정보
⊙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 홈페이지
https://www.gbmg.go.kr/tour/contents.do?mId=0101040100
-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32
조선시대로 떠나는 시간 여행
드라마 '킹덤', '옷소매 붉은 끝동', '해를 품은 달' 등을 촬영한 세트장으로 문경 도립공원과 연결되어 있다. 광화문을 생생히 구현해놓은 광화문 세트가 가장 유명한 스폿 중 하나. 한옥촌, 저잣거리, 서민 마을 등 여러 가지 분위기의 세트장이 넓은 부지 위에 펼쳐져 있어 마치 조선시대로 시간 여행하는 기분이 든다.
촬영장을 문경새재에 설치하게 된 동기는 무엇보다도 조령산과 주흘산의 산세가 고려의 수도 개성의 송악산과 흡사할 뿐만 아니라 옛길이 잘 보존되어 있어 사극 촬영장으로 매우 적합하기 때문이었다.
그동안 드라마 태조왕건, 제국의 아침, 무인시대, 대조영, 근초고왕, 성균관 스캔들, 제중원, 추노, 명가, 천추태후, 인수대비, 광개토태왕, 해를 품은달, 공주의 남자, 전우치, 대왕의 꿈의 촬영 주무대가 되었고 영화는 스캔들, 낭만자객, 활, 미녀삼총사, 관상, 광해, 나는 왕이로소이다, 구르믈 버서난 달, 전우치 등을 촬영하기도 하였다.
현재의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은 문경시의 제작지원으로 과거 고려시대를 배경으로 한 세트장을 허물고 새로운 조선시대 모습으로 2008년 4월 16일 준공한 것이다.
공사비는 75억원을 투입하였으며 규모는 70,000㎡ 부지에 광화문, 경복궁, 동궁, 서운관, 궐내각사, 양반집 등 103동을 건립 하였으며 기존 초가집 22동과 기와집 5동을 합하여 130동의 세트 건물들이 존재하고 있다.
◎ 한류의 매력을 만나는 여행 정보
<환혼> 대호국 수도의 배경이 된 장소인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은 <환혼> 뿐만 아니라 <킹덤>, <슈룹>, <해를 품은 달> 등 많은 사극 드라마의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이 세트장의 배경은 조선시대로, 드라마 속 조선시대가 궁금했던 사람이라면 과거 속으로 들어온 듯 생생한 현실감에 놀라게 될 것이다. 사극 드라마 속에 들어온 듯한 기분을 느끼고 싶다면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에 방문해 보길 추천한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새재왕건집
- 홈페이지
https://새재왕건집.kr
- 새재왕건집
054-571-8857
-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26
새재왕건집은 경북 문경시 문경새재 도립공원 내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메뉴는 간고등어구이 및 조림, 더덕구이, 양념석쇠구이 등이 있다. 음식을 숯불에 직접 구워 석쇠에 올려 나오는 것이 특징으로 남녀노소 모두의 입맛을 사로잡은 곳이다.
⊙ 새재할매집
- 새재할매집
054-571-5600
-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22
1973년 문경새재 제1관문 주흘관 안쪽에 문을 연 새재할매집은 50년이 넘는 전통을 지닌 맛집으로 2대째 운영하고 있으며 향토음식 맛자랑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할머니의 손맛으로 집에서 직접 담근 고추장과 된장으로 간을 한 고추장 약돌돼지 석쇠구이전문점이다. 약돌돼지란, 거정석이라는 약돌을 섞은 사료를 먹여 키운 돼지로, 일반 돼지보다 식감이 쫄깃하고 건강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이 거정석이라는 약돌 자체가 문경 일대에만 분포하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만 맛볼 수 있는 독특한 돼지고기이다. 이 외에도 더덕구이, 파전 등의 한식 메뉴를 맛볼 수 있다.
⊙ 문경식당
- 문경식당
054-571-3044
-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20-1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새재 도립공원 내에 있는 고추장삼겹살 석쇠구이, 더덕구이 등을 제공하는 음식점이다. 오미자로 숙성시킨 고추장삼겹살과 오미자로 숙성시킨 더덕구이정식 등 다양한 메뉴를 맛볼 수 있다.
⊙ 가고파식당
- 문경새재두메산골
054-571-8899
-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20
가고파식당은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 한식당이다. 대표메뉴는 ‘가고파정식’이며 메뉴구성은 더덕구이, 간고등어, 석쇠구이, 된장찌개가 나오고 알차게 구성되어 있다. 그 외에 메뉴로는 한우 능이버섯전골, 오미자 고추장 삼겹살 석쇠구이 등 다양한 한식메뉴들이 준비되어 있다. 매장 내부는 넓고 테이블수가 많아 단체로 이용이 가능하며 매장 외부 테라스도 있어 야외에서 식사도 가능하다.
⊙ 광성식당
- 홈페이지
http://www.mgksfood.kr
- 광성식당
054-572-3466
-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18
경상북도 문경, 문경새재 입구에 위치한 청국장, 더덕정식, 약돌돼지석쇠구이정식 전문점이다.
⊙ 문경새재옛날찹쌀떡
- 홈페이지
http://mapaetteok.modoo.at
-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288-14 마패떡
문경새재 도립공원 주차장에 자리한 곳으로 매일 아침 직접 삶은 국내산 팥과 찹쌀로 만든 수제 찹쌀떡 매장이다.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 전통 방식으로 만든 ‘마패 떡’은 많은 달지 않고 견과류가 씹히는 맛이 일품이다. 참고로 마패는 조선시대 관리들이 지방으로 출장 가는 경우 말을 이용할 수 있도록 발급해주는 명패로, 등급에 따라 말의 수가 다르게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지방에 파견되어 비밀리에 감찰 업무를 수행했던 암행어사의 신분증명도구로 많이 사용되었다. 이 곳에서는 문경 오미자로 담근 오미자청을 반죽에 넣어 만든 ‘암행어사 빵’도 맛볼 수 있다. 문경새재를 방문하는 이들에게 입소문이 자자해 늦게 가면 매진되기 십상이니 일찍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
⊙ 옛길박물관
- 홈페이지
https://www.gbmg.go.kr/
-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44
문경은 우리나라 문화지리의 보고(寶庫)이자 길 박물관이다.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의 소통로(疏通路)로서 조선팔도 고갯길의 대명사로 불리던 ‘문경새재’(명승 제32호)가 있고, 우리나라 최고(最古, 서기 156년 개척)의 고갯길인 ‘하늘재’, 옛길의 백미(白眉)이자 한국의 차마고도로 일컬을 수 있는 ‘토끼비리’(명승 제31호) 또 영남 대로 상의 허브 역할 담당했던 유곡역이 있다. 이러한 옛길 관련 문화유적은 이름만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살아있는 ‘길’로서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고 있다. 옛길 박물관은 이러한 문경의 역사 문화적 정체성을 잘 나타내기 위하여 건립된 박물관으로 당초 향토사 중심의 문경새재 박물관을 리모델링하여 2009년 재개관하였다. 옛길 위에서 펼쳐졌던 각종 문화상을 옛길 박물관에 담아내고 있다.
박물관은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3개 전시실과 1, 2층 중앙홀, 수장고, 영상실 등을 갖추고 있고, 야외전시장도 조성되어 있다. 제1전시실(주흘실)에는 문경관문, 영남 대로, 문경의 전투, 경상감사 도임 행차(慶尙監司到任行次), 제2전시실(조곡실)에는 문경의 문화와 의·식·주 생활, 집과 모둠살이, 신앙과 의례, 생업 기술 등에 관한 소장품 및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제3전시실(조령실)에서는 굽다리접시·토기 항아리 등 신라시대 토기가 주를 이루는 매장문화재, 1724년(경종 4) 도화서 화원 이치가 그린 옥소 권섭 영정, 선조가 홍인걸에게 하사하였다고 전해지는 어필 및 홍인걸의 유품인 투구, 김승주 삼공신 회맹록 판본, 주두업 지석 등에 관한 전시가 이루어지며, 야외에는 금학 사지 삼층석탑, 서낭당, 연자방아, 옹기와 장독대 등이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문경약돌돼지 새재갈비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saejaegalbe/
- 주소
경상북도 문경시 새재로 908 2층
경북 문경시에 위치한 문경약돌돼지 새재갈비는 문경약돌돼지로 만든 갈비를 판매하는 곳이다. 신선하고 부드러운 고기를 제공하는데 그 양도 넉넉해 찾는 사람들마다 높은 평을 한다. LA 생갈비, 숙성 생갈비, 생목살 등의 생고기와 양념갈비까지 두루 즐길 수 있다. 이 외에도 갈비찜과 된장찌개 등 식사류도 준비되어 있다. 웨이팅이 있을 수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경주시] 신라문화제 (1) | 2025.07.25 |
---|---|
[경상북도 문경시] 오감만족 문경새재맨발페스티벌 (7) | 2025.07.24 |
[경상북도 경주시] EX HORROR(엑스호러) 시즌 5 : 낯선 손님의 그림자 (0) | 2025.07.21 |
[경상북도 안동시] 안아드림 페스티벌 (5) | 2025.07.15 |
[경상북도 포항시] 영일대샌드페스티벌 (4) | 2025.07.15 |